이명의 원인은
청기(귀)내 및 그 중추경로에의 이상자극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가지 원인적 요인이 있지만 가장 흔한 것은 청신경의 손상에 의한 것으로
중년이 되면 어느 정도의 퇴행성 변화나 손상이 있게 되어
귀울림이 발생할 수 있다.
정의
이명은 외부 소리 자극이 없는데도
귓속 또는 머릿속에서 소리를 느끼는 현상을 말합니다.
본인은 이명으로 인해 괴롭더라도
주변 사람은 그 소리를 듣거나 느낄 수 없습니다.
증상
이명은 대부분은 주파수가 높은 금속성의 소리입니다.
소리의 성상과 병의 원인과의 연관성은 거의 없습니다.
소리의 성상은 윙~(전선 줄 우는 소리, 기계 소리), 쏴~(김빠지는 소리)하는 소리,
벌레 우는 소리(귀뚜라미, 매미 등), 찡~하는 소리, 바람 소리,
물 흐르는 소리 등의 단순음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전체의 3/4 정도입니다.
이러한 소리들이 합쳐진 복합음으로 표현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명은 대개 육체적 스트레스(과로, 수면 장애 등)로 인해 악화됩니다.
또한 주위가 조용할 때 심해지고, 신경이 예민해져 있을 때 악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원인 질환에 따라 이명과 함께 청력 저하나 어지럼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의사항
이명은 '불편한 것일 뿐'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이도록 노력하고,
이명을 무시하도록 노력합니다.
청각 기관에 스트레스를 줄 수 있는 소음은 가능한 피합니다.
적절한 운동과 안정을 취하고, 과로를 피합니다.
신경 자극 약물은 피하고, 과도한 커피(카페인) 섭취나 흡연(니코틴)을 삼갑니다.
이와 아울러 너무 짜지 않게 식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명은 보통 조용한 장소나 상황에서 크게 느껴집니다.
그러므로 적막을 피하고, 주변에 적당한 정도의 환경음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잠자리에 들면 최대한 빨리 잠이 드는 것이 좋습니다.
집 안에 있는 시계나 라디오의 소음을 줄여 놓으면 수면에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